지금 가지고 있는 노트북이 워낙 똥컴이라 stable diffusion webui로 그림을 만들다 보면 자주 out of memory 오류가 발생하네요. 도저히 안되겠다 싶어 빵빵한 그래픽카드 가격을 알아봤는데 왜케 비싼거죠? 반도체를 금가루로 만들었나? (실제로 아주 소량의 금가루가 들어간다고 들었던거 같기도 하고...)
그래도 앞으로 다가올 AI시대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눈물을 머금고 좋은 컴퓨터를 사려고 했는데, 요즘 반도체 제조사들이 AI에 특화된 반도체를 두고 기술패권 경쟁을 하고 있다는 뉴스들이 많이 보이네요.
그러면 앞으로 싸고 좋은 AI 반도체가 쏟아져 나올텐데, 이 트렌드를 매번 따라 가기에는 제 지갑이 너무 얇네요.
그래서 생각을 달리해 요즘 누구나 다 아는 클라우드 컴퓨팅(wiki) 서비스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이 트렌드를 따라가는 방향으로 정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수많은 방법이 있겠지만, 저는 이번에 Google Colab(webpage) 서비스를 다뤄보겠습니다.
Google Colab이 뭔데?
머신러닝, 데이터 분석에 적합한 Google Colab은 브라우저로 Python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GPU를 포함한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는 무료 서비스입니다. 물론 무료 사용자는 리소스가 제한적입니다. 어느정도까지 리소스가 무료로 제공되는지 공식 홈페이지를 찾아봤는데, 현재는 딱히 정해져 있지 않고 그때그때 유동적으로 관리한다고 합니다. (나중에 이용자가 많아지면 엄청 작게 제한하지 않을까 싶네요. 트래픽은 다 돈이니깐...)
일단은 무료라고 하니 쓸 수 있는데까지 최대한 써보도록 하죠.
stable diffusion webui Colab에서 실행
(1) webui 에서 실행할 인공지능 model 고르기
stable diffusion을 확장시킨 model들이 참 많습니다.
그래서 이 model들을 서로 공유하는 Hugging Face(webpage)라는 community 사이트도 존재합니다.
이 사이트에서 stable-diffusion을 검색해보면 관련 model이 현재 586개나 있네요. (수많은 천재들의 노고)
저는 그중에 다운로드,하트가 가장 많은 stable-diffusion-v1-5로 선택하겠습니다. (모르면 일단 가장 좋은걸...)
(2) Colab에 webui 실행하기 위한 Python 코드 작성
stable diffusion webui를 Colab 서비스에서 실행하려면 서버, Python 명령어를 잘 조합해서 입력해야 합니다.이게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너무나 어렵기 때문에, 초임자분들 쉽게 입문하라고 model별로 명령어 정리해 놓은 유용한 github이 있습니다.마침 stable-diffusion-v1-5 model도 있네요.
- lite : 심플한 기본
- stable : lite + ControlNet(그림 만들때 세세한 조정이 가능. github) 포함 (저는 이 버전으로 진행했습니다.)
- nightly : stable + 최신 버전의 라이브러리 포함 (아무래도 최신 버전의 라이브러리는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음)
(3) lite/stable/nightly 버전 선택해서 Colab으로 이동
(4) Google 로그인 후 실행 버튼 클릭
경고창 노출시 무시하고 계속하기 선택. 이것저것 설치하느라 완료되는데 5~7분정도 걸리는거 같습니다.
완료시 5번 이미지 처럼 Public WebUI Colab URL 문구가 노출됩니다.
(5) URL 중 아무거나 선택
(6) 명령어 입력 후 그림 만들기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그림 만들기] stable diffusion webui 무작정 설치 (feat windows, AMD) (2) | 2023.04.27 |
---|---|
[AI 그림 만들기] stable diffusion webui OpenPose 사용법 (0) | 2023.04.27 |
[AI 그림 만들기] stable diffusion webui LoRA 사용법 (0) | 2023.04.25 |
[AI 그림 만들기] stable diffusion webui ControlNet 사용법 (0) | 2023.04.23 |
[AI 그림 만들기] stable diffusion webui img2img 사용법 (0) | 2023.04.20 |
댓글